본문 바로가기

공공기관 청렴도

(2)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 실제 공공기관 청렴도 측정 결과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중앙행정기관 45개, 지방자치단체 중 광역은 17개, 기초 226개, 교육청, 교육 지원청은 91개, 한국은행 같은 공직 유관단체가 230개입니다. 이 기관 단체들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청탁 금지법이 시행된 이후에 청렴도 점수가 3년 연속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17년도에는 7. 94점, 새 정부 출범 이후 2018년도에는 8.12점, 2019년도에는 8.19점입니다. 2012년에 점수가 7.86이었던 것에 비해서 크게 상승한 것을 볼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국민 공공서비스 부패 경험률이 3년 연속 감소했다는 것도 의미 있는 결과네요. 2018년과 2019년의 점수 값을 비교하면서, 종합 청렴도와 각 영역별 ..
공공기관 청렴도 정의와 측정 방법 공공기관 청렴도 정의와 측정 방법 부패 수준을 판단하는 객관적 기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대표적인 객관적 지표에는 우리나라의 '공공기관 청렴도 지수'가 있습니다. 대한민국에 있는 다양한 공공기관의 청렴도를 조직 별로 평가할 때에, 주관적인 인식 지수뿐만 아니라 부패가 발생하는 빈도라든지 뇌물 액수 등 객관적인 자료까지 활용하는 겁니다. 객관적 자료로 주관적인 점수를 보완하는 복합적인 측정방법을 통해서 지수를 만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매우 객관적인 지표라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정의 공직자가 부패 행위를 하지 않고, 투명하고 공정하게 내・외부 업무나 정책을 처리한 정도를 '청렴수준'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개념은 수치로 측정하기에는 좀 추상적이죠. 그래서 이렇게 추상적인 개념적 정의를 실제 숫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