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i (2) 썸네일형 리스트형 부패 인식 지수 - CPI의 개념과 우리나라 국민권익위원회 부패 인식 지수 - CPI의 개념과 우리나라 국민권익위원회 부패 인식 지수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주관적인 지표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으로 CPI가 있는데요. CPI는 Corruption Perception Index Score를 의미합니다. CPI는 '부패 인식 지수'라고 하는데요. 국가별 부패 수준을 살펴보는 겁니다. 국가별 공공, 정치 부분에 존재하는 부패의 수준을 평가하는 대표적 지표에 해당합니다. CPI는 1995년부터 국제투명성기구라는 곳에서 매년 발표하고 있습니다. 영어로는 Transparency International, 약자로 TI라고도 부르는데요. 독일의 베를린에 본부를 둔 비영리 단체입니다. 화면을 보시면, 2019년의 국가별 CPI가 표로 나타나 있습니다. 덴마크와 뉴질랜드가 87점으로 .. 부패 수준 차이의 이유 부패 수준 차이의 이유 왜 부패 수준에 차이가 나는지 지금부터 이 부분을 자세히 보도록 하겠습니다. 부패 수준의 차이에 대한 이해에 관한 내용입니다. 먼저 주관적 지표, 부패인식지수의 차이에 대해서 보겠습니다. 부패 인식 지수 CPI는 평가자들이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서 점수가 정해지는 주관적 지표입니다. 다른 나라와 비교해 보면서 대한민국의 부패인식지수의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대부분 아시아의 국가 같은 경우에는 부패 점수가 굉장히 안 좋습니다. 여전히 부패가 심각한 수준으로 밝혀졌고 경제 침체로 타격을 많이 받은 기업들이 아시아에 상당히 많은데요. 이런 기업들은 공개경쟁보다는 여전히 정부와 부정한 타협을 하면서 의존을 많이 하죠. 대표적으로 뇌물공여, 수수에 의존을 많이 합니다. 하지만 한국이나 일.. 이전 1 다음